[스크랩] 청태종의 딸들 장녀 : 아오한공주(敖漢公主) 1621 - 1654 고륜공주. 청태종의 장녀. 모친은 청태종의 계비인 우라나라씨이다. 청태종의 장남인 하오거, 둘째아들인 뤄거와 모친이 같다. 후금 천면6년(1621) 3월 12일생이다. 천총7년(1633) 13세의 나이고, 몽고아오한부 보얼지지터씨 타이지 반디에게 시집간다. 그래서 아오한.. 역사인물 2008.04.20
[스크랩] 송헌책(宋獻策) : 대순(大順) 이자성의 군사 송헌책 (? - 1645) 영성(永城) 사람. 그는 독서를 좋아하고, 학식이 넓었으며 특히 "술사"로 유명하였으며, 오랬동안 사방을 떠돌아 다니며, 점을 쳐서 길흉화복을 알려주었다. 1641년 4월, 송헌책은 보풍(寶豊)의 선비인 우금성(牛金星)의 추천을 받아, 이자성(李自成)의 농민군에 들어간다. 그는 여러가지 .. 역사인물 2008.04.20
[스크랩] 숭정제(崇政帝) : 체면을 목숨이나 나라보다 중시했던 망국지군(亡國之君) 1627년, 평생 목수일을 하면서 놀았던 명희종(明熹宗)이 죽음을 며칠 앞두고, 다섯째 동생 주유검(朱由儉)을 불렀다. "다섯째 동생은 요순처럼 될 수 있을 거다". 그는 내우외환에 휩싸인 국가를 열입골살 된 동생에게 맡기고 세상을 떴다. 주유검이 바로 망국지군같이 같지 않은 망국지군이고, 조정과 .. 역사인물 2008.04.20
[스크랩] 명나라 영락제는 몽골계인가 고려계인가? 홍무31년에 명나라 태조 주원장이 사망했다. 황태손인 주윤문이 뒤를 이어 즉위했다. 그는 각지에 있는 숙부인 왕들의 세력이 너무 큰데 두려움을 느끼고 제태, 황자징등의 건의를 받아 번왕을 철폐하는 영을 내린다. 주왕, 상왕, 대돵, 제왕, 민왕등의 왕들은 죄를 물어 왕위에서 폐함을 당했고,.. 역사인물 2008.04.20
[스크랩] 영락제의 3천궁녀 참살사건 명성조(明成朝) 영락제(永樂帝)는 궁녀와 환관 3천여명을 살해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하나 재미있는 것은, 이 사건에는 조선에서 건너간 후궁과 궁녀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는 점이다. 명성조 영락제는 역사상 여러가지 업적을 남긴 황제이다. 그러나 그는 성격이 고집스럽고, 자기주장이 강하.. 역사인물 2008.04.20
[스크랩] 징기스칸의 묘는 어디에...? 내몽고박물관의 관장인 소청륭에 따르면, 징기스칸 묘의 확실한 위치는 중국과 세계의 고고학계의 괸심의 촛점이다. 현재, 당, 송, 명, 청의 황릉은 이미 다 찾았고, 일부 묘는 발굴을 마쳤다. 그러나, 원의 황릉만은 발견하지 못하고 있다. 징키스칸의 능묘를 발견하지 못하였으므로, 진정한 의미에서.. 역사인물 2008.04.20
[스크랩] 징기스칸의 죽음 징기스칸은 어떻게 죽었는가? 명나라 태조 주원장이 황제를 칭하던 당해 년도(1368년)말에 조서를 내려 편찬한 <<원사(元史)>>의 기재에 의하면, 징기스칸의 죽음은 아주 분명하다. 중병이 들어 치료하지 못하여 죽은 것이다. "(1227년) 가을 7월 임오, 상태가 좋지 않았다. 기축, 살리천사로도의 .. 역사인물 2008.04.20
[스크랩] 악비(岳飛)는 어떻게 민족영웅으로 조작되었는가? (1) 악비의 인품은 존경할 만하다. 그는 확실히 영웅이라고 할 만하다. 그러나, 그를 민족영웅의 지위로까지 끌어올리는 것은 역사적인 진실에 부합하지 않는다. 이것은 많은 측면에서 역대 왕조들이 정치적인 필요에 의하여 조작한 결과이다. 악비의 이런 상황은 역사상의 또 하나의 유명한 장수와 매우 .. 역사인물 2008.04.20
[스크랩] 중국역사상 화를 초래한 10대 미녀-양귀비(楊貴妃) 양귀비 양귀비, 이름은 양옥환. 모르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양귀비의 아름다움은 아무도 따라올 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황제가 밤이 짧다고 생각하고 아침 조회를 하지 않을 정도였고, 후궁의 3천미녀가 있었지만 그 모든 총애를 한 여자가 받아갔다. 이런 상태에서 당현종이 어떻게 나라를 다스릴.. 역사인물 2008.04.20
[스크랩] 당태종(唐太宗)과 위징(魏徵) 위징(580-643)은 수당시대의 걸출한 인재이다. 자는 현성(玄成)이고, 거록하곡양(지금의 진주) 사람이다. 어려서 부친을 잃고, 매우 빈곤하게 자랐고, 출가해서 도사가 되었었다. 수나라 말에 와강(瓦岡) 반란군에 참여한다. 이밀(李密)이 패한 후, 당(唐)에 귀순하였다. 그 후에 다시 두건덕(竇建德)이 실.. 역사인물 2008.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