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한무제(漢武帝)는 어떻게 황태자경쟁에서 승리했는가? 한무제는 웅재대략(雄才大略)의 황제였고, 그의 일생에는 여러가지 전설적인 이야기들이 많다. 그가 황제에 오르게 된 것은 순전히 그의 모친 덕분이다. 이 여인은 보통내기가 아니었다. 한경제(漢景帝)가 즉위한 해에 어느날 그는 꿈을 꾸었다. 꿈에서 붉은 돼지가 하늘에서 내려왔고, 바로 숭방각(崇.. 역사인물 2008.04.20
[스크랩] 항우(項羽)가 오강(烏江)을 건너지 않은 이유? 생전주인걸(生前做人杰) 살아서도 인걸이더니 사역위귀웅(死亦爲鬼雄) 죽어서도 귀웅이구나 지금사항우(至今思項羽) 지금까지 항우가 강동으로 불긍과강동(不肯過江東) 건너려고 하지 않은 것을 생각하네. 이 사는 송나라때의 여류사인 이청조의 명작이다. 항우는 진나마 말기 농민의병의 영수였고,.. 역사인물 2008.04.20
[스크랩] 항우(項羽)는 아방궁(阿房宮)을 불태웠는가? 당나라때 두목이 지은 <<아방궁부>>라는 시에는 "초나라 사람이 불을 붙이니, 아까워라 초토가 되었구나"라는 구절이 있고, 사마천이 지은 <<사기>>에는 "진시황은 함양에 사람이 많고, 선왕의 궁정이 작다고 생각하였다. "내가 듣기로 주문왕은 풍에 도읍을 정했고, 무왕은 호에 도읍.. 역사인물 2008.04.20
[스크랩] 유방(劉邦)의 용인지도(用人之道) <<사기 고조본기>> 유방 : 만일 나라면 병사를 얼마나 거느릴 수 있겠는가? 한신 : 폐하는 10만이상을 거느릴 수 없을 것입니다. 유방 : 그대는 어떠한가? 한신 : 신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습니다(多多益善). 유방 : (웃으며) 다다익선이면서, 어떻게 나에게 붙잡혔는가? 한신 : 폐하는 병사를 거느.. 역사인물 2008.04.20
[스크랩] 장량(張良)은 왜 유방(劉邦)을 따르게 되었는가? 세상에 태어난 모든 사람은 어른이건 어린아이이건 남자이건 여자이건 모두 자기가 성공하기를 바라고, 실패하기를 바라지는 않는다. 그렇다면 성공에는 비결이 있는 것일까? 한고조 유방은 한나라의 개국황제이다. 요방은 강소성 패현사람이다. 출신은 빈한했고, 30세이 패현 사수향정장(현재의 직.. 역사인물 2008.04.20
[스크랩] 주원장(朱元璋)의 상반된 초상화 현재 주원장을 그린 그림은 모두 5,6개 존재한다. 크게 나누면 두 가지가 있다. 그런데, 두 가지는 서로 너무나 달라, 혼란을 일으킬 정도이다. 1. 초상화 남경의 명효릉에 걸려있는 화상이다. 주원장이 의자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머리에는 두건을 쓰고 있고, 얼굴은 매우 길다. 얼굴에는 크고 작은 반점.. 역사인물 2008.04.20
[스크랩] 주원장이 개국공신들을 미친듯이 살해한 이유 중국역사를 들추어보면, 매번 왕조가 바뀔 때마다 시체가 산을 이루거나 피가 흘러 강을 이루었다. 이로 인하여 천하를 얻은 제왕은 권력을 얻는 것이 힘들다는 것을 생각하면서 더욱 권력을 놓치고 싶어하지 않았다. 그리하여 거의 신경질적인 수준에까지 이르러, 누가 또 자기의 자리를 빼앗을 가능.. 역사인물 2008.04.20
[스크랩] 주원장의 장례에는 어떤 일이 발생했는가? 작자: 예방육(倪方六) 주원장(朱元璋)의 사망시간에 대하여는 여러가지 견해가 있다. 첫째는 홍무31년(1398년) 윤5월 초9일이라는 설이고, 둘째는 윤5월 초5일, 셋째는 윤5월 17일이라는 설 등이 그것이다. 왜 중요한 개국황제의 사망에 대하여 이렇게 여러가지의 견해가 나타나게 되었는가? 표면적인 이유.. 역사인물 2008.04.20
[스크랩] 조조가 적벽대전에서 패한 이유는? 화공? 흡혈충? 적벽대전은 중국역사상 소수의 병력으로 다수의 병력에 승리를 거둔 유명한 전투이다. 도대체, 무슨 이유로 조조는 적벽대전에서 패하였는가? 일반적으로 조조의 군대가 패전한 치명적인 원인은 화공(火攻)때문이라는 것이다. <<삼국지. 촉서, 선주전>>에는 "손권이 주유, 정보등 수군 수만명.. 역사인물 2008.04.20
[스크랩] 궤변 : 조조는 여자였다. 최근 중국의 웹사이트에는 각종 궤변을 그럴듯하게 늘어놓는 경우가 많은데, 이 글도 그 중의 하나이다. 그저, 재미로 보면 될 것같다. ===================================================================================== 문저 우리는 세부적인 문제에서 조조가 실제는 남장여인이었다는 단초를 찾을 수 있다. 1. 제1회를 .. 역사인물 2008.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