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의 이모저모

[스크랩] 나의 十八技 수련기(20)-문파 견유기(門派見遊記)

칼의 춤 2008. 7. 7. 15:08

 



중국무술 18기에는 허다한 문파들이 제 나름대로 독창적인 기법과 역사,전통을 지닌채 무수히 존재한다.
그러나 바록 색깔은 다를지언정 권법의 기본원리는 모두 같은 곳에서 출발하였으므로 소위 만법귀일(萬法歸
一)로 상호간에 동일한 연원(緣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까닭에 지금까지 소개한 권파(拳派) 이외에도 다른 문파의 대략을 훑어 보는것도 흥미있는 일이라 할
수 있겠다.


**************
팔극권(八極拳)
**************
팔극권은 질실고박(質實古撲)하고 허식이 없으며 실용본위를 원칙으로 하는 권법이다.
특히 그 발경이 흉맹하다는 것은 중국 무술계에서도 널리 알려져 있으며 수많은 중국 권법의 문파 가운데서
도 가장 타격력이 강하다고 정평이 나 있다.
그 강력한 타격력을 붕감돌격(崩減突擊)ㅡ' 태산을 무너 트리는 것'과도 같은 일격이라고도 한다.
전설에 따르면 팔극권의 원류는 하남성에 있는 악산사(岳山寺)에서 일어나 청조때 민간에게 유전되고 최초로
하북성 맹촌 일대에 퍼졌다고 한다.
척계광이 저술한 기효신서(記效新書)에 기술된 '파자권(巴子拳)'이 팔극권의 원류가 아닐까 라는 견해도 있
다.

팔극문은 민국초기 신창(神槍) 이서문(李書文)이 나타남에 따라 비로서 팔극권이 맹촌 밖에까지 알려져 온
세상에 그 이름을 떨치게 된다.
이서문은 자를 동신(同臣)이라고 하는데 어려서 부터 무술을 즐겨 처음에는 소림권을 배우다가 나중에 팔극
권으로 바꾸었다. 공부를 대성하고 북경에 왔을때 주모(朱某)라고 하는 철곤(鐵棍)의 명수와 일전을 겨루어
거뜬히 승리를 거둔다.
이로 인하여 이서문은 신창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고 이후 '신창 이'라고하면 모르는 사람이 없게되었다.
이름이 떨치자 많은 도전자가 나타났는데 그중 장춘에 철두왕(鐵頭王)이라 불리는 자가 있었다. 이서문은 왕
과 솜씨를 겨루게 되었을때 이렇게 말했다.
"내가 우선 기마식으로 설테니까 너는 나를 세번 쳐라.그 다음에 나는 너를 한번만 치겠다"
왕은 이서문을 세번 후려쳤으나 기마식자세 그대로 미동도 하지 않았다. 그렇지만 이가 장으로 머리를 치지
왕은 턱뼈가 부러지며 일격에 즉사하고 말았다.
장작림 원수는 이서문의 명성을 듣고 그를 원수부로 초청하여 군의 교련을 맡긴다.

팔극권에는 기본기로 금강팔식(金剛八式)이 있다.
충추(沖推),천장(川掌),강룡(降龍),복호(伏虎),벽산장(劈山掌),권포장(捲抱掌),호포(虎抱),탐마장(探馬掌)이
그것으로  옛날의 수련자들은 이 8식중에서 제1식 충추만을 3년간 연습하였다고 할 만큼 중요한 기법으로 삼
았다.
가결(歌訣)에「축경여개궁 발경여방전(蓄勁如開弓 發勁如放箭)」ㅡ'활을 당기듯 축적하고 화살을 쏘듯 발경
한다'...라는 말과 같이 팔극권은 모든 동작이 이와같은 이론에서 이루어 지는데 이를 습득하기 위해서는 충
추가 가장 적합하다.
금강8식의 충추안에는 팔극권의 모든 기법이 들어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것이다.

특히 팔극권의 발경동작에는 츰보(闖步)라는 독특한 보법을 사용한다.
발끝은 나사처럼 땅에 비틀고 허리는 송곳처럼 회전시킨다. 땅을 뚫는것처럼 날카롭게 내딛고 정식에서는 허
리를 낯우고 대지에 뿌리가 박힌듯 우�서는 자세가 츰보이다.
이 츰보는 필자가 수련한 많은 권법에도 응용되어 그 위용이 넓게 활용되고 있다.

투로에는 팔극소가(八極小架)라는 소팔극권(小八極拳)과 팔극장권(八極長拳)인 대팔극권(大八極拳)이 있다.


(팔극권 연무시범)



**************
형의권(形意拳)
**************
형의권은 산서성 지방에서 그 기원을 찾을수 있으며 옛날에는 '심의육합권(心意六合拳)' 혹은'심의권(心意拳)'
'의권(意拳)'이라 불렀다.
송(宋)말의 명장 악비(岳飛)가 전한 유법(流法)이라고 하며 명(明)말 희용봉(姬龍鳳)이 창시하였다고 전해진
다. 심의육합권보에 '우리들이 난세에 처했을때는 창을 가지고 몸을 보호 하지만 평회로운 세상이 되면 무엇
으로 그것을 막을수 있을까? 이로써 창 대신 주먹이 되며 형을 흐트려서 만수(萬手)로 하고 권명을 '육합'
이라 하였는데 희씨의 전수를 받고 그 상세한 내용을 터득하기에 이르렀다' 라는 기록이 이를 말해준다.
이후 형의권은 많은 전수자들에 의하여 발전을 거듭하였던 바. 하북성에서 전수받은 제자들 가운데 한사람인
곽운심(郭雲深)은 실전의 영웅으로서 무술가들 사이에 널리 알려졌다.
곽운심은 성질이 격하여 일찌기 원수를 갚을때 상대방을 죽게하여 수년동안 수갑을 차고 감옥에 들어가 있었
으나 그동안에도 수갑을 찬 채로 연습하여 더욱 공이 쌓였다.
형의권 가운데 붕권(중단찌르기)을 잘하여 어떠한 상대와 시합을 하더라도 다만 붕권의 기술 하나만을 가지
고 쳐서 쓰려뜨렸음으로 세상 사람들이 「반보붕권((半步崩拳이 널리 세상을 횡행한다」고 칭찬을 아끼지 않
았다.

형의권의 기법은 '천지오행설'로 이치를 삼는 5종류의 기본권인 오행권(五行拳)과 열두가지의 동물의 모양을
본딴 12형권(十二形拳)이 있다.
오행권은 벽권(劈拳=金行),찬권(鑽拳=水行),붕권(崩拳=木行),포권(砲拳=火行),횡권(橫拳=土行)이며 12형권
은 용형권,호형권,후형권,마형권,타형권.계형권,요형권.연형권,사형권,대형권,응형권,웅형권 등이다.
이 오행권과 12형권이 다시 배합되어 사파추(四把推),팔식권(八式拳),팔자공권(八字功拳)등이 있다고 전해진
다.


(형의권 연무시범)



***************
영춘권(詠春拳)
***************
영춘권은 남권문(南拳門)에 속하며 엄영춘(嚴詠春)이라는 여성권사(拳士)가 창안한 권법이다.
영춘권의 특징은 보폭이 좁고 매초식마다 팔꿈치에 축경을 하여 쳐내는 단교발경형(短橋發勁型)이다.
보폭이 좁기때문에 적과 가까히 닥아서서 가격하는 첩신박투법(貼身搏鬪法)이 주가 된다.
투로에는 발차기가 거의 없이 수기(手技)로만 이루어졌고 동작이 조밀하며 장교대마형(長橋大馬型)의 권술
에서는 한발자욱도 떼어놓을수 없는 작은 공간에서도 대련이 가능함을 실제로 영춘권의 수련자들이 TV에 나
와서 시법을 보였다.
필자가 알기로는 우리나라에서는 영춘권을 가르치는 도장이 없는걸로 알고 있으며 그에 대한 관련서적도 거
의 찾아볼수 없어 상세한 지식은 알길이 없는 형편이다.
다만 전해지는 말에 의하면 무술스타 이소룡이 창안했다는 절권도(絶拳道)의 손기술이 영춘권의 기법에서 응
용하였다는 설이 있는것을 보면 여타권법과는 달리 영춘권의 수기기법은 뛰어났음이 입증되는 것이다.


(영춘권 연무시범)



***************
홍가권(洪家拳)
***************
홍가권의 창시자는 홍희관(洪熙官)이다.
일찌기 소림사의 지선선사(知禪禪士)로부터 불가의 정통 소림권을 배워 대성했다.
유명한 소림오권중 특히 호권(虎拳)과 학권(鶴拳)의 자세를 즐겨 연습 하였다.
그러나 일설에는 방칠랑의 백학권을 습득하였다고도 전해온다.

홍희관이 자신의 권법을 전하고자 도장을 개설한후 전부터 있던 영춘파(詠春派)에게 항시 시달림을 받았다.
어느날 홍희관은 영춘권도장을 찾아가 영춘권 종사(宗師)와 시합을 하여 자신의 권법으로 종사를 격살하였다.
이 일로 인하여 영춘파와는 대 원수지간을 이루게 된다.
홍희관은 영춘권과 결투시 학권과 소림 오권중에서 호권을 합하여 사용 하였는데 그 즉흥적인 기법의 위력이
놀라워 더욱 자세한 연구를 하여서 체계적인 권법으로 만든것이 바로 유명한「호학쌍형권(虎鶴雙形拳)」
다.
호학쌍형권은 그 기법이 약자가 강자를,작은자가 큰자를 무찌르는데 있다.
권법중 호랑이동작에는 단호(單虎),쌍호(雙虎),회두호(回頭虎),측면호(側面虎),차마호(車馬虎),상산호(上山
虎)등이 있으며 학의 동작으로는 포학(飽鶴),아학(餓鶴),독학(獨鶴),비학(飛鶴),학조(鶴爪)등이 있다.

홍희관은 자신의 성을 따서 홍가(洪家)의 무예라 하여 파를 세우고 연구한 기법을 손자인 소림사의 육하채(陸
河蔡)선사에게 전수하고 육하채는 광주10호(廣州十虎)의 둘째인 황기영(黃麒英)에게,황기영은 아들 황비홍
(黃飛鴻)에게 전수하니 황비홍은 임세영(林世榮),양관(梁寬)등 우수한 제자를 배출해 냈고 홍가권(洪家拳)도
크게 전파 되었다.

홍가권의 권법투로 로는 호학쌍형권을 비롯하여 칭홍가권(稱洪家拳),홍가오형권(洪家五形拳),내공권(內功拳),
철선권(鐵餞拳)등이 있고 병기로는 오랑팔괘곤(五郞八卦棍),사가창(史家槍),자모도(子母刀)등이 있다.
그중 필자가 수련한 것은 권법인 호학쌍형권과 봉술인 오랑팔괘곤 두가지였다.


<홍가권(남권)연무시범>

출처 : 소요재에 걸린 구름
글쓴이 : 소요거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