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도화원기 <도연명>
桃花源記 도화원기
陶淵明 도연명
晉太元中,武陵人,捕魚為業,緣溪行,忘路之遠近;忽逢桃花林,夾岸數百步,
中無雜樹,芳草鮮美,落英繽紛;漁人甚異之。復前行,欲窮其林。林盡水源,
便得一山。山有小口,彷彿若有光,便舍船,從口入。
初極狹,纔通人;復行數十步,豁然開朗。土地平曠,屋舍儼然。有良田、美池、桑、
竹之屬,阡陌交通,雞犬相聞。其中往來種作,男女衣著,悉如外人;黃髮垂髫,
並佁然自樂。見漁人,乃大驚,問所從來;具答之。便要還家,設酒、殺雞、
作食。村中聞有此人,咸來問訊。自云:「先世避秦時亂,率妻子邑人來此絕境,
不復出焉;遂與外人間隔。」問「今是何世?」乃不知有漢,無論魏、
晉!此人一一為具言所聞,皆歎惋。餘人各復延至其家,皆出酒食。停數日,
辭去。此中人語云:「不足為外人道也。」
既出,得其船,便扶向路,處處誌之。及郡下,詣太守,說如此。太守即遣人隨其往,
尋向所誌,遂迷不復得路。南陽劉子驥,高尚士也,聞之,欣然規往,未果,
尋病終。後遂無問津者。(http
있었다. 하루는 시내를 따라서 가다가 길을 잃었는데 시냇물에 복숭아 꽃잎이 떨어져
흘러오는 것을 보고 그 근원을 따라가니 홀연히 복숭아 숲을 만났다. 시내 가장자리
기슭의 수 백 보가 모두 복숭아나무뿐이고 잡목은 하나도 없었으며 향기로운 풀들만이
곱고 아름다웠으며 떨어진 꽃잎들이 어지러이 흩날렸다.
어부가 매우 이상하게 여겨 다시 앞으로 나가면서, 복숭아나무 숲 끝나는데 까지 가 보려고 했다.
그러자, 숲이 끝나고 수원지(水源池)가 있는 곳에서 자그마한 산도 보였다.
산에는 조그마한 굴이 있는데 밝은 빛이 새어 나오고 있는 듯하였다.
곧 배에서 내려 동굴 안쪽으로 들어갔다. 처음에는 굴 입구가 매우 좁아 사람이 간신히
지나갈 수 있었는데, 다시 수십 보 들어가니 넓고 확 트이고 밝아 보였다.
땅은 넓고 평평했으며, 집들도 잘 정돈되어 있었다. 기름진 땅과 아름다운 연못이 있고
뽕나무와 대나무 등이 있었다.
밭 사이 길은 사방으로 통하고 닭 울고 개 짖는 소리가 도처에서 들렸다.
이 곳에서 오가며 농사짓는 것과 남녀가 옷을 입은 것이 모두 바깥 세상과 같았다.
노인과 어린아이가 모두 나를 보더니 기뻐하고 즐거워했다.
그들이 어부를 보고 몹시 이상하게 생각하며 나에게 어디서 왔는가 물었다.
어부가 이곳을 찾아온 경로를 자세히 대답하자, 각자 집으로 초청해 술상을 차리고
닭을 잡아 먹기를 청했다. 마을에 이런 사람이 와있다는 소문을 듣고, 마을 사람들이
모두 찾아와서 자세히 물었다.
그들 스스로 "선조들이 진나라 때 난을 피해 처자와 동향 사람을 거느리고, 세상과
단절된 이곳으로 왔다 다시 나가지 않았소. 그래서 바깥 세상 사람과 왕래가
끊겼소"라고 하면서 물었다.
"지금이 어느 시대입니까?"
그들은 한나라가 있었다는 사실조차 몰랐고, 위와 진나라는 말할 것도 없었다.
이에 어부가 알고 있는 모든 것을 일일이 말해주자, 모두 놀라며 탄식했다.
다른 사람들도 그를 자청하여 술과 음식을 대접했다. 어부는 며칠 동안 묵은 후 작별
인사를 했다. 마을 사람들이 그에게 부탁했다.
"바깥 사람들에게 이야기하지 말아 달라."
해놓았다. 마을에 돌아와 태수를 뵙고 이러한 사정을 이야기 했다.
이에 태수가 곧 사람을 보내, 그가 온 곳을 따라 표시한 곳을 찾았으나 끝내 길을 잃고
찾지 못했다.
남양에 유자기는 인품이 높은 선비였다. 이 이야기를 듣고 기꺼이 그곳을 가보고자
했으나 끝내 찾지 못하고 얼마 후 병들어 죽고 말았다.
그 후로는 이 장소를 찾거나 묻는 이가 없었다.
도잠(陶潛,365~427)은 자가 연명(淵明)이다. 일설에는 이름이 연명(淵明)이고 자가 元亮이라고도
한다. 오류선생(梧柳先生)이라고 자칭하였으며, 그의 사후에 그의 벗들이 그에게 정절(靖節)이라는
시호를 붙여주어 정절선생이라고 불린다.
동진의 심양 시상(지금의 강서성 구강현)사람이다. 그는 중국문학사에서 가장 위대한 시인 중 한 사람
이며, 산문과 사부 또한 매우 뛰어나서 중국문학에 광범위한 영향을 주었다. 청년시절에는 유가교육을
받아 치국제민의 포부를 가졌으나, 후에 당시의 암울한 현실과 계급의 모순 등에 싫증을 느끼고
노장사상에 경도되었다. 평택현령을 마치고 마지막으로 관직생활을 청산하고 만년에는 전원생활로
일관하였다. 문집으로는 <<도연명집>>이 있다.